본문 바로가기
하나부터 열까지

영유아기 뇌 발달에 좋은 습관.

by mom2u 2022. 8. 27.
반응형

[영유아기의 뇌 발달. 중요한 것은?]

아기들 보면 때에 맞춰서 알려주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하나씩 배우는 걸 보면 참 신기할 때가 많아요.^^ 물론 정확하고, 제대로 하려면 부모의 도움이 필요한 건 맞지만, 부모가 특별히 뭔가를 알려주지 않아도 편안한 가정에서 자란 아이는 큰 어려움 없이 잘 배우는 것 같아요. 부모의 모습을 보고 배우는 게 많아서 아이 앞에서 말도 조심하게 되고, 행동도 조심하게 돼요. 아이들이 부모에게 관심 없는 것 같아도 나중에 보면 내가 했던 행동들과 말투를 따라 하고 있거든요~
저희 집 아이들 클 때 생각해 보면 기어 다니고, 걷고 하는 것도 단계적으로 했지만 말도 하기 시작할 때는 엄청난 속도로 배우고 성장해요. 기억하는 것도 많아지고 궁금한 것도, 활동범위도 넓어지고요.
점점 사람(?)이 되어 가고 있구나~~ 그런 생각이 들었죠.^^ 특별한 훈련을 하지 않아도 부모와 함께 경험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아이는 하루가 다르게 성장해요.




✔️ 아이들의 뇌는 출생 직후 3년까지의 뇌 발달이 성인 뇌 발달의 80%까지 진행.
- 만 3세까지의 시기가 중요하다. 다양한 경험과 자극들로 양적, 질적으로 발달을 한다.
- 추후 인지발달, 정서 등 각각의 뇌의 부위를 고도화할 수 있게 '기초공사'를 하는 시기.


<뇌 발달의 5가지 습관>
1. 균형 있는 식사하기
- 뇌에 좋은 음식이 있다고 해서 특정 음식에만 한정하면 안 된다.
- 5가지 영양소를 먹는 것이 가장 중요. (곡류, 어육류, 채소, 과일, 유제품)
- 편식이 심하고 5가지 영양소 중 한 가지를 안 먹는다면 : 영양제나 대체식품으로 보충해 줘야 함.

✔️ 잘 파악이 안 되는 경우에는?
- 전문가에게 영양상담을 제대로 받고 필요한 보충제를 추천받아 보충하는 것도 좋다.

2. 안정된 애착
- 주양육자와의 신뢰와 믿음이 있어야 인지, 지능발달에 도움이 되고,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없음.
- 사회성, 공감, 정서조절의 발달까지 도움이 됨.

3. 충분한 수면
- 잠을 잘 자면 머리도 똑똑해진다.
깨어 있을 때는 애착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고, 그런 경험을 통해 쌓인 지식이나 느낌을 저장, 기억을 담당하는 것이 자는 동안 이루어진다. 잠을 충분히 잔 아이들이 기억력, 집중력, 학습력이 우수하다.

✔️ 충분한 수면이란?
(밤잠, 낮잠 포함한 총 수면시간)
- 돌 ~ 24개월 : 11 ~ 14시간
- 3 ~ 5세 : 10 ~ 13시간
- 6 ~ 12세 : 9 ~ 12시간

반응형


4. 다양한 경험, 적절한 자극
- 각각 발달의 단계 속에서 신체활동을 익히고 에너지 발산을 한다.
예) 내 팔을 움직여서 물건을 잡는 행동 : 운동 실행 계획능력.

📌 운동 실행 계획능력 : 아동이 특정 활동 수행을 위하여 자신의 근육을 사용하는 순서를 계획하고 움직임을 조절하고 조직화하는 능력.

운동능력 중 상위 기능 중의 하나이며, 이 운동 실행 계획능력이 완성되기까지 매일 다양한 신체활동을 해야 한다.
- 다칠까 봐 모든 활동을 과하게 제제하는 건 좋지 않다.
- 너무 과다한 자극(신나게 뛰어놀거나 잠자기 전까지 과한 자극)이나 너무 적은 자극도 숙면에 좋지 않다.

5. 즐거운 놀이
- 사물을 조작, 기능을 이해하는 능력, 놀이로 간접경험, 상상하기 : 즐거움을 느끼고 뇌 발달이 풍부해진다.
- 감각적인 경험 자체가 놀이가 되기 때문에 다양한 자극을 통해 놀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자.
- 놀이에 몰입한 아이는 눈이 반짝반짝하다 : 이 것이 뇌 발달이 되고 있다는 뜻.

✔️ 위의 5가지 모두 특별한 것들이 아닌 아이가 본능적으로 하는 것들이다. 기본에 충실한 육아가 영유아 시기에 '기초공사'에는 가장 중요하다.





* 내용 참고 : 우리 동네 어린이병원, 우리 어린이

728x90

댓글